태양광 발전 수익 계산기 활용법
1. 설치만 하고 계산 안 하면 손해보는 구조입니다
태양광을 설치했는데 정작 수익이 얼마나 나오는지 계산해본 적 없으신가요? 정부 보조금을 받아 설치했더라도, 정확한 수익 예측 없이 설치만 했다면 예상보다 수익이 적거나, 장기적으로 손해를 볼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전력거래 수익, 절감요금, REC 판매 단가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태양광 수익 계산기를 정확히 활용해야 합니다. 지금부터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계산기와 실제 적용 방법, 주의점까지 정리해드릴게요.
2. 태양광 수익은 어떻게 구성될까?
태양광 발전 수익은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됩니다:
- 전기요금 절감: 자가소비를 통한 월 전기세 절약
- 잉여전력 판매(SMP): 한전에 판매한 전력량에 따라 수익 발생
- REC 거래 수익: 일정 용량 이상일 경우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판매
예를 들어 3kW 설치 시, 월 6만원 전기료 절감 + 월 3~4만원 SMP 판매 수익이 발생해 연간 100만원 내외의 수익 구조가 일반적입니다. REC는 10kW 이상부터 발급 대상이며, 사업용 태양광에 적용됩니다.
3. 한전 수익 계산기 사용법 (자가소비 중심)
한국전력 사이버지점에서는 가정용 태양광 수익 계산기를 제공합니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이버지점 홈페이지 접속 → “신재생에너지 → 태양광 발전량 계산기” 선택
- 설치 용량(kW), 지역(시/군), 사용 전력량 입력
- 월별 예상 발전량, 절감 가능 전기요금 자동 계산
이 계산기는 자가소비 모델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실거주 주택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합니다. 한전 기준 발전량은 지역별 일사량 평균을 기반으로 하므로 꽤 정확한 편입니다.
4. 민간 SMP + REC 수익 계산은 어떻게?
10kW 이상 사업용 태양광 설치자의 경우, 한전 계산기 외에 신재생에너지센터(https://www.knrec.or.kr) 및 SMP 거래소 정보가 필요합니다.
예상 수익 계산 방법:
- 월 발전량(예: 1,000kWh) × SMP 단가(예: 130원/kWh) = 130,000원
- REC 단가(예: 50,000원) × 가중치 × 발전량(REC환산) = 추가 수익
총 합산 시, 연간 300만~500만원 수준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지붕 위, 주차장 위, 토지형 등 설치 위치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집니다.
5. 실전 적용 시 유의사항과 팁
수익 계산기 사용 시 다음 사항을 반드시 유의하세요:
- 계산기는 예상치일 뿐, 실제 발전량은 기상조건/설치 각도에 따라 변동됨
- 자가소비 모델은 전기 사용 패턴에 따라 절감폭이 다름
- 판매 수익 모델은 SMP, REC 단가 변동성 주의
- 설치 전 반드시 시뮬레이션 받고 수익성 확인 후 계약
또한 소규모 가정용은 한전 계산기, 10kW 이상 사업용은 SMP+REC 복합 계산이 필수이며, 모든 계산은 반드시 최근 시세 기준으로 진행해야 정확합니다.